건강

고혈압 쉽게 이해하세요

건강한행복 2022. 10. 25. 13:45
반응형

대한민국 성인의 약 30%가 고혈압이라고 추정된다고 하는데요 3명당 1명 꼴입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상 혈압은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 확장기 혈압 80mmHg 미만입니다

 

수축기 혈압 120~139mmHg이거나, 확장기 혈압 80~89mmHg이면 고혈압 전 단계

 

1기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 140~159mmHg이거나, 확장기 혈압 90~99mmHg

 

2기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 16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 100mmHg 이상

 

이해하기 쉽게 그림 하나 첨부하겠습니다

1. 수축기 135mmHg/이완기 80mmHg라고

2. 수축기 120mmHg/이완기 95mmHg라고 가정하면 고혈압입니다

3. 수축기 150mmHg/이완기 75mmHg라고 가정라면 고혈압입니다

 

가장 많이 헷갈려하시는데 2와 3번의 경우인데 수축기 또는 이완기 둘 중 하나만 높아도 고혈압에 해당됩니다

 

2번의 경우 나 120인데 정상 아니냐 하시는 경우가 있어 참고로 설명드립니다

 

원인

고혈압의 90% 이상은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노화, 스트레스, 비만, 짠 음식, 운동부족, 유전적 요인 등에 영향을 받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나머지 약 10% 정도 차지하는 이차성 고혈압은 예로 들어 특정 질병이 혈압에 영향을 주는 경우로

 

그 질병을 치료하면 정상혈압으로 돌아올 수 있는 상태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고혈압 증상

고혈압의 경우 대부분 증상이 없어서 건강검진이나 병원 진료를 보다가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주로 두통이나 어지러움, 가슴 두근거림, 피로 등의 증상으로 병원을 찾아가 고혈압 진단을 받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렇다고 두통이 있다고 무조건 고혈압은 아니니까 두통을 먼저 해결해보기를 권장해요

 

고혈압 검사

고혈압은 특별한 검사를 하는 건 아니고 혈압계로 혈압을 측정해요

 

단, 혈압은 여러 요인으로 높아질 수 있고 자세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어요

 

혈압을 측정할 때는 앉은 자세에서 5분 이상 안정을 취한 후  왼쪽 팔을 걷고 심장 높이에 두고 측정해야 돼요

 

측정 전 30분 이내에 담배나 카페인 섭취하면 혈압에 영향을 미쳐 정확한 측정이 어려울 수 있어 주의하셔야 돼요

 

그리고 병원에 가면 긴장해서 높게 나올 수 있어요

 

그래서 고혈압 진단을 이미 받았거나 혈압관리를 꾸준히 하고 싶은 경우

 

평소 매일 같은 시간에 안정된 상태로 꾸준히 측정하는 게 가장 좋아요

 

고혈압 치료

고혈압 전 단계에서는 체중 조절, 식이 요법, 규칙적인 운동 등을 먼저 권합니다

 

고혈압으로 진단받으면 반드시 약물을 이용해 혈압을 정상으로 조절해야 

 

신장, 혈관, 심장 등 순환기계통의 합병증으로 발전하는 것을 늦추거나 예방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해 비약물적 요법과 약물적 요법을 함께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흡연은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라고 하니 금연은 필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고혈압 환자의 경우 체중 조절, 식이조절, 음주 제한 등 생활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과체중이나 비만 환자의 경우에는 저칼로리 식단과 운동으로 체중을 감량하고

 

단, 단백질 선취가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신장 기능이 정상이라면

 

체중 kg당 1~1.5g의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해야 돼요

 

과도한 음주는 고혈압 및 뇌졸중의 중요한 위험 인자이고

 

약물 요법의 효과를 떨어트린다고 하네요


성인 약 3명 중 1명 꼴로 앓고 있는 고혈압에 대해 알아봤어요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했는데 

 

잘 전달됐을지 모르겠네요

 

더 중요한 건 지금 고혈압으로 진단받으셨다면 약물치료 잘 받으면서 꾸준히 관리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반응형